포토리딩 빠른 가이드
포토리딩 책에서 정리한 포토리딩 빠른 가이드 정리
1단계: 준비하기
• 독서 목적을 분명히 정한다.
• 학습을 위한 이상적인 마인드 상태에 들어간다. 이는 이완된 각성 상태를 말한다.
2단계: 미리보기
• 자료를 훑어본다.
• 목적에 맞는 가치가 있는 자료인지 평가한다.
• 더 읽을지 말지 결정한다.
3단계: 포토리딩
• 포토리딩할 준비를 한다.
• 마인드 리소스 레벨 상태에 들어간다.
• 개인의 능력과 이 자료로 달성할 목적에 대해 확언한다.
• 고정된 인식 지점(귤기법)과 '블립 페이지'로 포토포커스 상태에 들어간다.
• 페이지를 넘기고 챈트를 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. 호흡은 깊고 고르게 유지한다.
• 마무리할 때, 정보가 미친 영향과 그것을 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을 확언한다.
4단계: 다시보기
• 더 깊이 있게 조사할 시간이다. 목차를 다시 살펴보고, 페이지에서 첫 문단과 마지막 문단을 리드미컬한 정독으로 읽거나 색인을 확인할 수 있다.
• 책을 10-15페이지씩 넘기면서 주의를 끄는 트리거 단어나 핵심 용어를 찾는다.
• 당신의 호기심과 특정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질문을 만든다.
5단계: 활성화하기
• 이상적으로는 포토리딩 후 활성화하기 전에 몇 분 또는 하룻밤을 기다린다. 이는 인큐베이션 기간이다.
• 다시보기 단계에서 만든 질문을 검토한다. 이는 당신의 마인드가 올바른 섹션으로 이끄는 연결고리를 찾도록 자극한다.
• 관심 가는 부분을 슈퍼리딩한다. 페이지 중앙을 따라 눈을 빠르게 움직여 큰 텍스트 덩어리를 의식으로 불러온다. 활성화에 이상적인 마인드 상태는 인식 주변부의 미묘한 단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상태다.
• 특정 구절을 읽고 질문에 답하기 위해 텍스트를 디핑한다. 리드미컬한 정독은 디핑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.
• 스키터링은 슈퍼리딩과 디핑의 보완 또는 대안이다. 단락의 주제문을 읽은 후, 이해를 돕는 지지 단어와 구문을 눈으로 훑고 결론 문장을 읽는다.
• 자료에서 얻은 핵심 아이디어를 시각적 다이어그램으로 만들어 마인드맵을 그린다.
• 텍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빠르게 움직이며 편안하게 읽는 래피드리딩을 한다. 원하는 만큼 시간을 들인다. 자료의 복잡성과 중요도에 따라 읽기 속도를 조절한다.
• 토론과 꿈꾸기를 포함한 다중 지능을 사용하는 다른 형태의 활성화를 탐구한다.
자료출처: 포토리딩(폴 R. 쉴리 저, 김동기 역 | 폴리매스랩 | 2024년 12월 09일)